AI 에이전트 공간 추론 능력 향상, 게임 영상으로 1,340억원 투자 유치

게임 영상을 활용해 AI 에이전트의 공간 추론 능력을 훈련시키는 스타트업 General Intuition이 1,340억원 규모의 시드 투자를 유치했어요. Medal의 20억 개 게임 영상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혁신적인 접근법이 AI 업계의 주목을 받고 있답니다.

A futuristic AI system analyzing multiple gaming screens showing different video game environments, with data streams and spatial reasoning visualizations floating around the monitors. Clean tech laboratory setting with blue and white lighting, no text.

Medal에서 탄생한 AI 연구소의 혁신적 데이터 활용법

게임 영상 공유 플랫폼 Medal에서 분사한 General Intuition은 독특한 데이터 자산을 보유하고 있어요. 월 1,000만 명의 활성 사용자가 수만 개의 게임에서 연간 20억 개의 영상을 업로드하는 방대한 데이터베이스죠.

CEO 핌 드 위테는 “게이머들이 업로드하는 클립은 매우 긍정적이거나 부정적인 극단적 사례들이 많아서, 훈련에 필요한 엣지 케이스를 제공한다”고 설명했어요. 이런 선택 편향이 오히려 AI 훈련에는 유리하게 작용한다는 거예요.

공간-시간 추론 능력이 AGI의 핵심인 이유

일반적인 대화형 AI와 달리, General Intuition의 AI 에이전트는 공간-시간 추론(spatial-temporal reasoning) 능력에 집중해요. 이는 물체와 개체가 공간과 시간을 통해 어떻게 움직이는지 이해하는 능력이랍니다.

“인간이 세상을 설명하기 위해 텍스트를 만들 때, 공간-시간 추론에 대한 일반적 직관을 잃게 된다”고 드 위테는 말했어요. 텍스트 기반 대화형 AI의 근본적 한계를 지적한 거죠.

Abstract visualization of spatial-temporal reasoning showing objects moving through 3D space with trajectory lines and time sequences. Futuristic holographic interface with geometric shapes, particles, and motion paths in a dark tech environment, no text.

게임 데이터가 Twitch, YouTube보다 우수한 이유

General Intuition이 게임 영상을 선택한 이유는 명확해요. 게임은 1인칭 시점에서 다양한 환경을 경험할 수 있는 완벽한 훈련 데이터를 제공하거든요.

특히 Medal의 데이터는 Twitch나 YouTube와 달리 순수한 게임플레이에 집중되어 있어요. 불필요한 채팅이나 해설 없이 순수한 시각적 입력과 컨트롤러 조작만으로 구성된 데이터죠.

Khosla Ventures 주도 1,340억원 투자 유치 성공

General Intuition은 Khosla Ventures와 General Catalyst가 주도하고 Raine이 참여한 시드 라운드에서 1억 3,370만 달러(약 1,340억원)를 유치했어요. 시드 투자 규모로는 상당히 큰 금액이죠.

이 투자금은 연구진과 엔지니어 팀 확장에 사용될 예정이에요. 게임과 수색구조 드론 분야에서 초기 적용을 목표로 하고 있답니다.

실제 물리 환경으로 전환 가능한 기술력

General Intuition의 AI 에이전트는 훈련받지 않은 환경도 이해하고 올바른 행동을 예측할 수 있어요. 인간 플레이어가 보는 것과 동일한 시각적 입력만으로 컨트롤러 조작을 따라 공간을 이동하죠.

이런 접근법은 로봇 팔, 드론, 자율주행차 같은 물리적 시스템으로 자연스럽게 전환될 수 있어요. 실제로 이런 장비들은 게임 컨트롤러로 조작되는 경우가 많거든요.

Split screen showing a gaming interface on the left transitioning to a real rescue drone flying through mountainous terrain on the right. Seamless technology transfer visualization with connecting data streams, realistic lighting, no text.

기존 월드 모델 업체들과의 차별화 전략

DeepMind나 World Labs 같은 기업들이 월드 모델 자체를 판매하는 것과 달리, General Intuition은 다른 방향을 택했어요. 저작권 문제를 피하고 게임 개발자와 경쟁하지 않기 위해서죠.

대신 기존의 결정론적 봇을 뛰어넘는 지능형 봇과 NPC 개발에 집중하고 있어요. 플레이어의 승률을 50% 수준으로 유지해 참여도와 retention을 최대화하는 것이 목표랍니다.

수색구조 드론 분야 진출로 사회적 가치 창출

CEO 드 위테의 인도주의적 배경이 반영된 또 다른 적용 분야는 수색구조 드론이에요. GPS 없이도 낯선 환경을 탐색하고 정보를 수집해야 하는 상황에서 공간 추론 능력이 핵심이거든요.

이런 드론들은 재해 현장이나 험난한 지형에서 생명을 구하는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어요. 게임에서 배운 공간 탐색 능력을 실제 구조 작업에 적용하는 거죠.

General Intuition의 혁신적인 접근법은 AI 에이전트 개발에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고 있어요. 게임 데이터라는 독특한 자원을 활용해 실제 세계에서 활용 가능한 공간 추론 능력을 개발하는 것, 정말 흥미로운 발전이라고 생각하지 않으세요?


출처: https://techcrunch.com/2025/10/16/general-intuition-lands-134m-seed-to-teach-agents-spatial-reasoning-using-video-game-clips/

같이 보면 좋은 글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