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수질 모니터링, 양식업 혁신: Aquawise가 제시하는 3가지 미래

AI 수질 모니터링 기술이 양식업의 미래를 바꿀 준비를 마쳤습니다. 특히 동남아시아 지역 양식업자들이 겪는 수질 관리의 어려움은 매년 막대한 손실로 이어지는데요. 2025년 테크크런치 디스럽트에서 공개될 Aquawise의 혁신적인 AI 솔루션이 그 해답을 제시합니다.

A clean infographic showing the concept of AI-driven water quality monitoring in aquaculture. It should depict satellite imagery flowing into an AI system, which then analyzes water conditions (temperature, oxygen, chlorophyll) in fish or shrimp farms, leading to healthy aquatic life. Use a clear, scientific illustration style with no text.

양식업 수질 관리, 왜 중요하고 무엇이 문제일까요?

양식업에서 수질은 어류나 새우 같은 수생 생명체의 건강과 직결되는 가장 중요한 요소입니다. 물속에서 살아가는 생명체에게 최적의 수질 유지는 마치 사람에게 깨끗한 공기가 필요한 것과 같죠. 하지만 기존의 수질 모니터링 방식은 많은 한계를 가지고 있습니다. 고가의 센서나 수질 테스트 키트는 특히 동남아시아 같은 개발도상국 지역의 농가들에게 큰 재정적 부담이 됩니다.

이러한 어려움 때문에 수질 관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으면, 수생 생명체들은 스트레스를 받거나 질병에 취약해집니다. 심할 경우 집단 폐사로 이어져 양식 농가에 막대한 경제적 손실을 안기게 됩니다. 현재 전 세계 양식업 농가의 약 80%가 수질 문제로 어려움을 겪으며, 연간 약 300억 달러(한화 약 40조 원)에 달하는 손실이 발생한다고 해요.

Aquawise의 혁신적인 AI 솔루션: 위성 이미지와 인공지능

방콕에 본사를 둔 스타트업 Aquawise는 이러한 양식업의 고질적인 수질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AI와 기존 위성 기술을 활용하는 혁신적인 방법을 제시합니다. 농가에서 값비싼 하드웨어를 따로 구매할 필요가 없다는 점이 가장 큰 특징입니다. Aquawise는 위성 이미지를 활용해 양식장의 물 상태를 파악하고, 이를 물리학 기반 AI 모델에 입력합니다.

이 AI 모델은 물의 온도, 엽록소 수준, 산소 농도 등을 정밀하게 분석하여 수질 변화를 감지합니다. 이처럼 기존에는 상상하기 어려웠던 방식을 통해, Aquawise는 양식업자들이 훨씬 더 효율적이고 경제적으로 수질을 관리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농가의 재정적 부담을 줄이면서도 정확도를 높이는 것이죠.

A realistic illustration of an AI system analyzing satellite images of aquaculture farms. The image should show a screen displaying various data points like temperature, oxygen levels, and chlorophyll. On the side, healthy fish and shrimp are shown in clear water. Emphasize the connection between satellite data and healthy aquatic life. No text.

24시간 실시간 모니터링과 정확한 예측의 힘

기존의 수질 모니터링 방식은 주로 매일 또는 매주 단위로 진행되어 실시간 대응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었습니다. 하지만 Aquawise의 플랫폼은 양식장의 수질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습니다. 이는 실시간으로 물의 변화를 감지하고, 문제가 발생하기 전에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더 나아가 Aquawise는 단순한 모니터링을 넘어 수질 변화를 추적하고 예측하는 기능까지 제공합니다. Aquawise의 공동 창업자 겸 CEO인 Patipond Tiyapunjanit은 “수생 생명체는 항상 물속에 살기 때문에 최적의 수질 유지가 가장 중요합니다. 수질이 최적 수준을 유지하지 못하면 스트레스와 질병 발생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라고 강조하며, 실시간 예측의 중요성을 설명했습니다.

Aquawise의 탄생 스토리: 19세 청년의 300억 달러 문제 해결 여정

Aquawise의 이야기는 공동 창업자 Patipond Tiyapunjanit의 새우에 대한 깊은 애정에서 시작되었습니다. 19세의 그는 새우 유생에 대한 연구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양식업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는데요. 2023년 Young Scientist Competition에 참가했을 때, 라이벌 팀을 지도하던 Chanati Jantrachotechatchawan과 Kobchai Duangrattanalert를 만났습니다. 그들은 Patipond의 잠재력을 알아보고 그의 프로젝트를 멘토링했고, 이 프로젝트는 2024년 Regeneron 국제 과학 기술 박람회에서 수상하는 쾌거를 이루었습니다.

이후 세 사람은 “업계의 가장 중요한 문제”를 찾기 위해 노력했고, 그 결과 연간 300억 달러의 손실을 유발하는 수질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가장 시급하다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이러한 발견을 바탕으로 2024년 Aquawise가 설립되었습니다.

A lifestyle photography image of three young, diverse entrepreneurs in a lab or office setting, intensely discussing data on a screen or whiteboard related to water quality and aquaculture. Show them looking passionate and innovative, symbolizing the founding of Aquawise. Natural lighting, professional setting, no text.

동남아시아 양식업의 지속 가능한 성장을 돕는 Aquawise

미국이나 유럽과 같은 지역에서는 양식업 수질 관리가 비교적 큰 문제가 아니지만, 동남아시아와 같은 개발도상국 지역에서는 상황이 다릅니다. 이 지역의 농가들은 비싼 모니터링 기술을 감당할 수 없어, 대신 날씨 예보나 수동으로 물을 확인하는 방식에 의존하고 있습니다. 이는 잘못된 수질 관리로 이어질 위험이 매우 높습니다.

처음 Aquawise 팀은 음파 탐지 기술을 이용해 수질을 모니터링하려 했지만, 이 역시 농가에 큰 재정적 부담이 될 것이라는 결론을 내렸습니다. Aquawise는 “태국과 동남아시아 전체 지역의 사람들이 공동체, 지역, 그리고 농장 자체의 삶의 질을 개선하기 위해 우리 기술을 사용할 수 있기를 바랍니다”라고 밝히며, 현지 농가들의 상황을 깊이 이해하고 그들의 삶에 실질적인 도움을 주고자 하는 의지를 보여주었습니다.

데이터 기반 AI 모델 발전과 양식업의 밝은 미래

Aquawise는 현재 여러 양식장과 협력하며 수질 데이터를 수집하고 이를 통해 AI 모델을 지속적으로 훈련시키고 있습니다. 제품을 본격적으로 판매하기 전에 모델의 정확성을 충분히 검증하는 데 주력하고 있는 것이죠. 또한, Aquawise는 내년에 투자 유치 계획도 가지고 있습니다.

Patipond Tiyapunjanit은 “양식업은 오늘날 전 세계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식량 부문입니다. 유엔(UN)은 양식업이 적은 배출량으로 높은 영양을 제공할 수 있는 능력 때문에 다가오는 수십 년 동안 100억 인구를 먹여 살릴 최적의 방법으로 지목했습니다”라고 말하며, Aquawise가 양식업의 지속 가능한 성장에 기여할 중요한 역할을 강조했습니다.

A vibrant infographic showing a sustainable aquaculture farm with healthy fish, clean water, and minimal environmental impact. The image should convey the idea of feeding a growing global population efficiently and responsibly, perhaps with a subtle globe icon in the background. Clean, positive, and futuristic illustration style. No text.

Aquawise의 AI 기반 수질 모니터링 기술은 동남아시아 양식업의 오랜 숙제를 해결하고, 전 세계 식량 문제 해결에 기여할 중요한 발걸음이 될 것입니다. 이들의 혁신적인 AI 수질 모니터링 기술이 만드는 미래를 직접 확인하고 싶다면, 2025년 10월 27일부터 29일까지 샌프란시스코에서 열리는 테크크런치 디스럽트 2025에 참여해보시는 건 어떨까요?

출처: https://techcrunch.com/2025/10/14/aquawise-will-show-off-its-ai-driven-water-quality-tech-at-techcrunch-disrupt-2025/


같이 보면 좋은 글

Leave a Comment